반응형
며칠간 천천히 책을 읽는 중이다
계속 앞에 강조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
다음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새로운 내용이 나와서
새로 기록한다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학습을 하다가 동반되는 실수는
실패가 아니라 교훈이자 완벽한 숙달로 향하는 전환점으로 보는 게 좋다
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압박을 준다면
수행이 부진해지고
곧 학습에 악영향을 미친다
학생은 실수를 실패로 간주하게 되고
실패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으로
실제로 시험에서 다 나쁜 결과를 얻기도 한다
이것은 작업기억용량의 상당부분을 자신의 수행자체를 감시하는 데 쓰게 되어 문제를 푸는 데 쓸 작업기억용량이 얼마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
작업기억용량이란 어떤 문제를 처리 하는 동안 머릿속에 담고 있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을 가리킨다
누구나 작업기억은 아주 제한적이며 개인차도 있으며 용량이 큰 작업기억은 높은 지능과 연관이 있다
학습을 하는 아이들에게 어려움이 학습에 꼭 필요하고 실수는 자연스럽고 당연히 있을 수 있는 일이고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된다고 알려주면 이 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
반응형
'독서 및 절약 > 독서 - 일반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8년 7월 독서일기 - 어떻게 의욕을 끌어낼 것인가 (0) | 2018.07.02 |
---|---|
2018년 5월 - "명견만리" 를 읽다 (0) | 2018.05.23 |
2017년 12월 31일 -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(0) | 2017.12.31 |